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고7

손상된 도로때문에 차가 손상을 입게 된다면? 최근 장마로 인해 도로의 손상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요. 저도 얼마전, 출근길에 손상된 도로를 밟고 운전석 앞쪽 휠/타이어가 복구도 못할정도로 손상을 입은 경험이 있습니다. 보통은 '재수가 없었네' 라며 생돈을 들여 피해를 복구해야할 상황이었지만, 손상된 도로가 원인이 되어 손해를 입었을때 어느정도 피해를 보상받을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있다는 정보를 입수했습니다. 하지만 피해보상을 받기 위해서는 운전자 역시 모종의 준비를 해야하는데요, 첫째로 차량 파손의 원인이 된 손상된 도로와 차량의 파손정도를 확인할수 있는 증거를 남겨둬야합니다. 물론 사진을 남기는 편이 확실하겠죠? 저같은 겨우에는 몇년간 블로그를 운영해온 습관 덕분에 생각없이 사진을 찍은게 도움이 됐습니다. 이렇게 사진자료가 없어도 보상이 가능한지.. 2011. 7. 25.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 레이서들의 안전장비 HANS 일반적인 차량에서 사고시 운전자를 지켜주는 대표적인 안전장치는 3점식 안전벨트와 에어백이 있는데요. 레이스카들은 버킷시트에 몸이 완전히 고정되도록 4점식 안전벨트를 사용하고는 있지만, 감량을 위해 에어백은 달려있지 않습니다. 어찌보면 무게감량뿐만 아니라 충돌이 쉽게 일어나기 쉬운 레이스 상황에서 에어백이 터진다면 더 위험할수도 있고, 작은 충돌에도 경기를 포기해야만 하는 상황이 올수도 있기 때문인것도 같은데요. 몸은 4점식 벨트로 완전히 고정이 되어있고, 무거운 헬멧까지 쓰고있는 상황에서 사고가 날 경우 가장 크게 손상을 입는 부분이 바로 목 입니다. 이 취약한 부분을 지키기위해 만들어진 안정장비가 바로 위에보이는 HANS(Head And Neck Supporter)인데요. 위 사진처럼(김진표 선수의 헬.. 2011. 6. 8.
단말기 없이 하이패스 차로로 들어가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고속도로 톨게이트에는 하이패스 단말기를 부착한 차량을 위한 하이패스 차로와 일반차로로 구분이 되어있는데요. 간혹 단말기 미부착 차량이 하이패스 차선으로 들어가는 실수를 범하기도 합니다. 저는 어제도 그런 차량(택시 -_-)을 바로 앞에서 만나게 됐는데요. 당황했는지 하이패스가 인식되는구간에서 정지를 해버리더군요. 어차피 정차를 해야하는 일반 차로도 아니고 하이패스차로에서 정차를 하게되면 사고의 위험이 있다는걸 전혀 인지하지 못하는 행동이었죠. 그렇다면, 실수로 하이패스 차로로 들어간 차량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도로공사측에서도 하이패스를 도입하면서 수많은 돌방상황에 대해 방비책을 세워왔을텐데 설마 이런 상황을 얘상하지 못했을리는 없겠죠? 후환이 두려워 못하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제가 직접 겪어본 바로는 통.. 2011. 5. 31.
반응형